반응형

Language 283

[ Python ] 행성까지의 여행 시간 구하기 프로그램

행성까지 가는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지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 planet_dict = {'수성':91700000, '금성':41400000, '화성' :78400000, '목성': 628700000, '토성': 1277400000, '천왕성' : 275400000, '해왕성': 4347400000} planet = input('행성 이름: ') speed = int(input('이동 속도(km/h): ')) distance = planet_dict[planet] time = distance / speed year = int(time) // (365*24) month = int(time - (year*365*24)) // (30*24) day = int(time - (year*365*24)..

Language/Python 2021.09.03

[ Python ] 멘델의 유전 법칙 시뮬레이션 프로그램

무작위로 완두콩 RR, Rr, rR, rr을 생성시켜 둥근 완두콩과 주름진 완두콩의 비율이 3:1임을 시뮬레이션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 import random descendant = [] def make_descendant(): h1 = random.randrange(0,2) h2 = random.randrange(0,2) if h1 == 0 and h2 == 0: h = 'RR' elif h1 == 0 and h2 == 1: h = 'Rr' elif h1 == 1 and h2 == 0: h = 'rR' else: h = 'rr' descendant.append(h) def count_descendant(d): d_dict = {} for n in d: if n in d_dict: d_dict[n]..

Language/Python 2021.09.03

[ Python ] 딕셔너리와 집합 개념

딕셔너리는 항목들을 모아둔 곳 딕셔너리는 '키(key)'와 '값(value)'이 연결된 쌍으로 구성 딕셔너리는 중괄호{}를 사용해 작성 딕셔너리에 key를 제시하면 value를 반환 딕셔너리에서는 키를 모르는 경우 keys()를 사용해 모든 키를 볼 수 있음 딕셔너리에서 사용되는 모든 값을 알고 싶다면 values() 사용 딕셔너리의 수정은 키를 통해 이루어짐 딕셔너리의 항목을 삭제하려면 del(), pop(), discard(), remove() 사용 → 중복된 값을 제거하고 사용하고 싶을 땐 set() 사용 → 딕셔너리의 항목을 모두 삭제하려면 clear() 사용 딕셔너리를 반복문으로 처리하면 효과적 집합은 자료가 중복되지 않으며, 순서가 없음 → index가 필요 없음 딕셔너리의 value값을 정렬..

Language/Python 2021.09.03

[ Java ] 클래스와 인스턴스 그리고 객체지향

package sujin.object; public class CalculatorDemo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ystem.out.println(10+20); System.out.println(20+40); } } ▶️ 10+20값과 20+40값이 각각 30과 60으로 출력됨 → '더하기' 부분이 중복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중복 값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함 메소드화 → Refactoring package sujin.object; public class CalculatorDemo2 { public static void sum(int left, int right) { System.out.println(left + right); } public static..

Language/Java 2021.09.03

[ Java ] 입력과 출력

입력과 출력 ▶️ 입력(Input)과 출력(Output)을 줄여 IO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 앱이 시작할 때 데이터를 입력 package sujin.io; public class InputDemo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ystem.out.println(args.length); } } ▶️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: args라는 이름을 가진 변수가 문자열을 담을 수 있는 배열임을 의미 → main 함수의 parameter(매개변수)가 string[] args임 ▶️ void 때문에 main은 입력값은 있지만 출력 값은 없음 ▶️ .length : 배열의 길이를 의미함 package sujin.io; clas..

Language/Java 2021.09.03

[ Java ] 배열

배열 → 연관된 정보를 그룹핑 하는데 사용함 package sujin.array; public class DefineDemo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tring[] classGroup = {"최진혁", "최유빈", "한이람", "이고잉"}; } } ▶️ String[] : classGroup에 담을 배열이 문자열로 구성된 배열임을 의미함 package sujin.array; public class GetDemo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tring[] classGroup = {"최진혁", "최유빈", "한이람", "이고잉"}; System.out.println(classGroup[0]); System..

Language/Java 2021.09.03

[ Java ] 반복문

While문 → 반복 횟수를 while 뒤 괄호 안에 작성 후 중괄호에 출력하고자 하는 내용을 작성함 while(조건){ 반복 실행 영역 } package sujin.loop; public class WhileDemo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while(true) { System.out.println("Coding Everybody"); } } } ▶️ true인 경우 while문이 반복되도록 작성했기 때문에 강제 정지시키지 않으면 결과값은 무한대로 출력됨 package sujin.loop; public class WhileDemo2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i = 0; while (i

Language/Java 2021.09.03

[ Java ] 논리 연산자

And && → 좌항과 우항의 값이 모두 true일 때 참이 됨 package sujin.conditionaloperator; public class AndDemo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f (true && true) { System.out.println(1); } if (true && false) { System.out.println(2); } if (false && true) { System.out.println(3); } if (false && false) { System.out.println(4); } } } ▶️ 첫 번째 조건문에서 좌 우항 모두 true이기 때문에 결과값은 1 로그인 프로그램 응용 package sujin.condition..

Language/Java 2021.09.03

[ Java ] 조건문

조건문(if) 사용 예제 파일 package sujin.condition; public class ConditionDemo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f (true) { System.out.println("result : true"); } } } ▶️ if문 괄호 안에 true 대신 false를 입력하면 결과가 출력되지 않음 package sujin.condition; public class Condition2Demo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f(false) { System.out.println(1); System.out.println(2); System.out.println(3); System.ou..

Language/Java 2021.09.03
반응형